Transfrom 색상바
1. 작업창 크기; 700*500, 이미지 크기; 460*310, 난이도; ★★★
300/300으로 동그라미 그려(다시 한 번 말한다. 별도의 지시가 없으면 선타입=none이다.) 이를 카피 총 4장을 만들어 맨 위 세이프, 필타입=none으로 하고 btn(이 세이프가 버튼이 될 것이다.)이라 적고, 그 아래 세이프는 1번 이미지로 교체하고 위에서 3번째 세이프는 빛이미지1로 교체하고 4번째 보라색 세이프는 350/350으로 사이즈를 키우고 이를 카피 한 장을 더 만들어 맨 아래 세이프 선택하고 빛이미지2로 교체하고 보라색만 남기고 다 눈을 감겨 놓는다.
2. 보라색 세이프를 2/0으로 잘라 벗겨내고 오른쪽을 삭제하고 이번에는 0/2로 잘라 위쪽만 남기고 아래 세이프는 삭제한다. 이어 툴바의 서브셀렉션툴 선택하고 위 그림처럼 포인트 3개만 남기고 나머지 포인트는 다 삭제하고 선에 우클하여 linear를 선택해 왼쪽선을 직선으로 만든다.
3. 이번에는 셀렉션툴을 선택하고 화면을 500%로 확대해 포지션 포인트를 눈금자를 보면서 마우스로 350/250 지점을 옮긴다. 이제 이 세이프를 카피해 로테이션 30을 주고 다시 붙이기하여 60, 이런 식으로 원형을 만들면서 붙이기를 계속한다.
4. 이제 세이프 하나하나를 선택하고 색상을 바꾼다. 본인이 좋아하는 색으로 서로 대비를 시키든지, 본인이 알아서 한다. 나는 색감에 둔해 이런 작업은 영 서툴다. 이 세이프 12개와 맨 아래 빛이미지2를 group(무비클립이 아니다.)으로 묶고 나서 이를 무비클립으로 만들어 이름을 color라 한다.
5. 칼라를 열고 group를 선택하고 타임라인 1프레임에 Core Effects-Transfrom을 주고 효과막대를 10프레임으로 줄인 다음, 에펙창에서 스케일을 100으로 하고 이 효과막대를 카피 위 그림처럼 11, 21프레임에 붙여넣기를 한 다음, 31프레임에 place를 주고 color열 선택하고 31프레임에 스톱을 주고 30프레임에 마우스 우클 무비컨트롤-고투엔 플레이-고투엔 프레임을 선택한다.
이어 color 무비클립으로 닫고 100프레임에 더블클릭 무비를 주고 로테이션 360을 주고 이를 다시 무비클립으로 묶고 round라 이름 한다.
6. round 무비클립과 그 위 빛이미지1을 다시 무비클립으로 묶고 effect이라 이름하고 effect을 선택하고 스크립트창을 열고 아래 구문을 적는다. round와 빛이미지에 따로따로 원하는 필터를 주면 더 보기 좋다.
onFrame (5)
{
this._alpha = 100;
}
onFrame (10)
{
this._alpha = 95;
}
onFrame (15)
{
this._alpha = 90;
}
onFrame (20)
{
this._alpha = 85;
}
onFrame (25)
{
this._alpha = 70;
}
onFrame (30)
{
this._alpha = 75;
}
onFrame (35)
{
this._alpha = 70;
}
onFrame (40)
{
this._alpha = 65;
}
onFrame (45)
{
this._alpha = 50;
}
onFrame (50)
{
this._alpha = 45;
}
onFrame (55)
{
this._alpha = 40;
}
onFrame (60)
{
this._alpha = 35;
this.gotoAndPlay(1);
}
7. 이제 이미지에 효과를 주어보자. 이미지 선택하고 타임라인 1프레임에 Appear into position-Wild_Sideflow를 주고 에펙창에서 스케일을 100으로 정정하고 21-50프레임에 Looping continuously-Rotate and Scale을 주고 에펙창에서 스케일 100, 칼라체인지 0으로 한다.
8. 다시 51-80프레임에 Return to start-Kinetic_Skid를 주고 81-100프레임에 Return to start-Rotate-Turn을 주고 이를 컨버트 투 무비클립으로 묶고 img1이라 하고 원하는 필터를 준다.
9. img1을 카피해서 10개를 만들어 모두 무비클립으로 묶고 main이라 이름하고 타임라인에 그림처럼 배열한다. 맨 위 btn 세이프를 선택하고 아래 스크립트를 적는다. 이어 아웃라인의 모두를 하나의 무비클립으로 묶고 사이즈를 600/400으로 조정하고 다시 언그룹한다.
on (rollOver) {
effect.stop();
effect.round.stop();
effect.round.color.gotoAndPlay(31);
}
on (rollOut) {
effect.play();
effect.round.play();
effect.round.color.gotoAndPlay(1);
}
on (release) {
main.nextFrameAndPlay();
}
* 이번 영상은 물결효과를 주려면 버튼 스크립트를 이해하지 못하고는 힘들다. 더구나 영상에 페이드 효과가 들어가 있어 그냥 물결처리하면 물결판이 비친다. 그걸 카버하기 위해 배경과 함께 묶어 하나의 무비클립으로 만들고 이를 카피해 물결효과를 주어야 한다.
그런데 이번 영상은 메인무비클립과 배경사이에 effect이라는 색상바가 들어가 있다. 순서를 바꾸면 영상이 이상하게 보인다. 그러니 버튼을 제외한 모두를 묶어야 한다. 그러면 위 스크립트에 경로가 바뀐다. 이 새로 만든 무비클립을 aa라 하자, 그러면 위 스크립트의 타켓트 모두에 'aa.'가 들어가야 한다. 즉 버튼의 모든 스크립트의 타켓트를 바꾸어 주어야 한다.
또 물결효과를 주기위해 aa를 카피해 bb를 만들었다고 하자, 그러면 이 bb속의 무비클립을 모두 스크립트에 연결해 주어야 한다. 간단하게 강좌에서 적어줄 수도 있다. 그렇게 하면 이번 영상은 또 될 것이다. 그러면 다음은 어떻게 할 것인가? 다른 스크립트는 어렵다고 하자, 그러나 버튼에 관한 스크립트만은 필히 넘어야 할 산이다. 정말 쉽다. 무지무지 쉽다. 그런데 이해하려고 노력하지 않는 것 같다. 우리 카페 멤버들은 버튼에 관한 스크립트만이라도 이해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해볼 때까지 해보자. 그리고 안 되면 질문하라. 대부분 안 된다고 질문하신 분 파일을 보면 노력한 흔적이 없다. 그냥 강좌에 있는 그대로다. 노력하지 않으면 이 산을 넘지 못한다. 너무나 쉬운 산인데도.
이 강좌 맨 위 영상의 스크립트를 메모장에 적는다. 물론 무비클립의 이름을 어떻게 주었느냐에 따라 다르다. 여러분이 버튼 스크립트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on (rollOver) {
aa.effect.stop();
aa.effect.round.stop();
aa.effect.round.color.gotoAndPlay(31);
bb.aa_Copy.effect.stop();
bb.aa_Copy.effect.round.stop();
bb.aa_Copy.effect.round.color.gotoAndPlay(31);
}
on (rollOut) {
aa.effect.play();
bb.aa_Copy.effect.play();
aa.effect.round.play();
bb.aa_Copy.effect.round.play();
aa.effect.round.color.gotoAndPlay(1);
bb.aa_Copy.effect.round.color.gotoAndPlay(1);
}
on (release) {
aa.main.nextFrameAndPlay();
bb.aa_Copy.main.nextFrameAndPlay();
}
'스위시세상 > 스위시 고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 에펙 겔러리| (0) | 2012.06.29 |
---|---|
스크립트 마스크 (0) | 2012.06.29 |
auto color matrix (0) | 2012.06.29 |
Script Light Effect Gallery (0) | 2012.06.29 |
마우스 따라가는 파노라마 버튼 겔러리 (0) | 2012.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