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시맥스4 스크립트 작품7, 여러 모양으로 움직임
1. 스위시맥스4를 실행한 후 앞에서 만든 스크립트작품 3번을 열기
한다. 다른 이미지로 Open Image 한다.
2. Outline 패널에서 im무비클립내의 im6, 7, 8을 지운다. im1~5의
순서를 위쪽이 im5가 위치하도록 한다.
(아웃라인의 위에서부터 im5, 4, 3, 2, 1)
3. Stage에서 im5의 이미지를 im1앞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즉 O=X
센타 X=350 Y=-202로
4. Outline 패널에서 im무비클립내의 im1~5의 무비클립을 각각 선택
한 후 script 패널에서 모두 삭제한다.
5. Timeline 패널에서 im무비클립과 안의 기존의 효과와 스크립트를
모두 지운다.
6. Outline 패널에서 im을 열고 선택하고, Tools의 원툴을 선택한다.
stage에 적당히 드래그한다.
7. Propertise 패널에서 W=100 H100, 라인=None, 채우기=Solid
8. Transform 패널에서 O=X 센터 X=350 Y=250으로 한다.
9. Timeline 패널에서 Shape라인 1프레임에우클릭→Move, 프레임
수=50, 활성화, Transform 패널에서 xscale/yscale을 1200/1200
으로 100프레임에 place 한다
10. Timeline 패널에서 Preview Frame을 해지하고, Outline 패널의
Shape에 우클릭→Convert→Convert to Movie Clip을 클릭한다.
예를 클릭한다. 이름은 won으로한다. O=X 센타 X=350 Y=250
으로 하고
11. Outline 패널에서 won무비클립을 im1아래로 위치하고, im1과
won을 선택한 후 우클릭→Grouping→Group as Movie Clip을 클
릭한다. 이름은 im1으로 한다.
12. Properties 패널에서 Use bottom object as mask를 체크한다.
※ Movie Clip의 앵커포인트를 센타로하고 앵커포인트를 stage원
점, 즉 X=0 Y=0으로 끓어다 논다.
13. Outline 패널에서 im1무비클립내에 있는 won무비클립을 복사하
여 im무비클립에 Paste In Place 한다. 이름을 nemo로 한다.
위치는 im2 아래로 한다. nemo 무비클립을 열어서 Tools의 사각
형툴을 클릭하여 원위치와 크기에 맞게 드래그한다. 원의 효과를
cut하여 사각형에 붙여넣기한다. 50프레임에 Preview Frame을
클릭하여 x, yscale을 1000%로 100프레임에 place. O=X 센타로
14. Timeline 패널에서 Preview Frame을 해지하고, Outline 패널에
서 nemo 무비클립안의 원형 개체를 삭제한다. nemo 무비클립을
+로 닫고. O=X 센타 X=350 Y=250으로
15. Outline 패널에서 im2과 nemo를 선택 우클릭→Grouping→
Group as Movie Clip을 클릭한다. 이름은 im2으로 한다.
16. Properties 패널에서 Use bottom object as mask를 체크한다.
※Movie Clip의 앵커포인트를 중앙으로하고 앵커포인트를 stage
원점 즉 X=0 Y=0으로 끓어다논다., 기타 im3 im4 도 같이한다
17. Outline 패널에서 im3, im4 무비클립도 위와 같이 하되(13~16
번), im1무비클립내에 있는 won무비클립을 복사하여 응용한다.
Shape을 각각 하트, 오각형, 라인=none으로 한다. (1500%,
1500%)
18. Outline 패널에서 im1~4 무비클립내의 마스크를 복사하여
im 무비클립에 붙여넣기 한다. 아웃라인의 위에서부터 순서가
pol, heart, nemo, won 무비클립 순이고. 4개모두 Preview
Frame을 해지하고 O=X 센타 X=350 Y=250으로한다
19. Outline 패널에서 pol, heart, nemo, won 무비클립을 선택하여
마우스우클릭→Grouping→Group as Movie Clip을 클릭한다.
이름은 all로 한다. O=X 센타 X=350 Y=250
20. Outline 패널에서 all을 im5아래로 위치하고, im5과 all을 선택한
후 마우스우클릭→Grouping→Group as Movie Clip을 클릭한다.
이름은 im5으로 한다.
Movie Clip 의 앵커포인트를 Transforme 판넬에서 중앙으로하고
중앙의 앵커포인트점을 stage의원점 즉 X=0 Y=0 지점으로 옮긴다
21. Outline 패널에서 im안의 im1~5까지 무비클립을 +로 닫고, im
을 선택 im 라인 1~5프레임에 stop(), im5라인 5프레임에 Place,
im4 라인 4프레임에 Place 5프레임에 Remove im3라인 3프레임
에 Place 4프레임에 Remove, im2라인 2프레임에 Place 3프레임
에 Remove im1라인 1프레임에 Place 2프레임에 Remove
22. Outline 패널에서 im을 열고 선택 Tools에서 원형툴을 클릭하고
stage 바깥쪽에 적당한 크기로 드래그 한다. (즉 라인=none 채우기
=image W=75 H=75, O=X 센타 X=-80 Y=100으로). Outline 패
널에서 원형쉐입을 무비클립으로 만든 후 이름을 start로 한다.
※start 의 Movie Clip을열고 start를 선택한후 100Frame을 선택
하고 아래 script를 적용한다
24. Outline 패널에서 im내의 각각의 무비클립에 다음과 같이 스크립
트를 적용한다.
- start :
onFrame(100){
_root.im.play();
}
- im1~5안의 im1~5 :
onSelfEvent(load){
MovieClip.prototype.elasticMove = function(a, b, tx, ty){
var tempx = this._x;
var tempy = this._y;
this._x = a * (this._x - tx) + b * (this.prevx - tx) + tx;
this._y = a * (this._y - ty) + b * (this.prevy - ty) + ty;
this.prevx = tempx;
this.prevy = tempy;
}
}
onSelfEvent(enterFrame){
this.elasticMove(1.2, -0.6, 350, 250);
}
- im1~4안의 won, nemo, heart, pol과 im5→all→안의 4개에 :
onSelfEvent(load){
MovieClip.prototype.elasticMove = function(a, b, tx, ty){
var tempx = this._x;
var tempy = this._y;
this._x = a * (this._x - tx) + b * (this.prevx - tx) + tx;
this._y = a * (this._y - ty) + b * (this.prevy - ty) + ty;
this.prevx = tempx;
this.prevy = tempy;
}
}
onSelfEvent(enterFrame){
this.elasticMove(1.2, -0.6, random(600), random(400));
}
25. Outline 패널의 prev와 next무비클립을 펼친 후 Tools에서
AutoShape 툴을 선택한 후 우측에서 2번째 화살표를 클릭한다.
prev 안의 Text를 삭제하고 Movie Clip 안에 화살표를 그린다 좌
측방향으로 next 안의 Text를 삭제하고 Movie Clip 위에 화살표
를 그린다 우측방향으로 화살표를 그리고, 변형조절점으로 조절한
다.(V자 가 옆으로 누은 모양으로) 다시 Tools에서 사각형툴로 화
살표 크기로 드래그하고, 화살표와 겹친다. 위치는 화살표 위로
한다.
26. Properties 패널에서 만든 화살표와 사각형의 쉐입을 다음과 같
이 설정한다. 사각형 : W/H=22/22, line=None, Fill=None,
화살표 : W/H=20/20, line=None, Fill=Solid, 빨간색 두개묶어
무비클립으로 이름 prev와, next 로
27. Outline 패널에서 prev, next 무비클립의 앵커포인트를 중앙으로
하고 다음과 같이 스크립트를 적용한다.
- prev에
onSelfEvent (load) {
easing = 0.1;
elasticity = 0.1;
txscale = 100;
ts = 0;
}
onSelfEvent (enterFrame) {
ts = ts * easing + (txscale - this._xscale) * elasticity;
this._yscale = this._yscale + ts;
this._xscale = this._xscale + ts;
}
onSelfEvent (rollOver) {
txscale = 130;
}
onSelfEvent (rollOut) {
txscale = 90;
}
on(press){
if(_root.im._currentFrame == 1){
_root.im.gotoAndStop(5);
_root.im.start.gotoAndPlay(1);
}else{
_root.im.prevFrame();
_root.im.start.gotoAndPlay(1);
}
}
- next에
onSelfEvent (load) {
easing = 0.1;
elasticity = 0.1;
txscale = 100;
ts = 0;
}
onSelfEvent (enterFrame) {
ts = ts * easing + (txscale - this._xscale) * elasticity;
this._yscale = this._yscale + ts;
this._xscale = this._xscale + ts;
}
onSelfEvent (rollOver) {
txscale = 130;
}
onSelfEvent (rollOut) {
txscale = 90;
}
on(press){
if(_root.im._currentFrame == 5){
_root.im.gotoAndStop(1);
}else{
_root.im.nextFrame();
_root.im.start.gotoAndPlay(1);
}
}
만들어놓은 노고가 있으면 가져와도 되고 없으면 만든다
28. Stage에서 수직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좌우측화살표의 위치를
아래쪽으로 위치하고, 좌우 간격을 적당하게 띄운다.
29. Tools의 텍스트툴을 선택한 후 Stage에 클릭한다. Propertise
패널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 휴먼옛체, 20, 흰색, 본인
이름을 3번반복하여 입력한다.
30. Outline 패널의 이름텍스트에서 마우스우클릭→Break→
Break into Letters를 클릭한다.
31. Outline 패널의 이름그룹에서 우클릭→Grouping→Ungroup을
클릭한 후 다시 무비클립으로 묶는다. 이름은 name으로 한다.
O=X체크, 앵커는 좌측위로 한다.
32. Outline 패널에서 name 무비클립을 펼치고 맨 아래텍스트부터
x좌표를 0, 20, 40, 60...과 같이 20단위로 위치한다.
무비클립을 합친다.
33. Tools에서 사각형툴을 선택한후 스테이지에 텍스트의 맨 우측글
자에 맞춰서 드래그 한다. Properties 패널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
한다. W/H=20/21.15, Line=None, Fill=Solid
34. Outline 패널에서 사각형을 name 아래로 위치하고, 2개를 선택
하여 마우스우클릭→Grouping→Group as Movie Clip을 클릭한
다. 이름을 name으로 한다. 마스크 체크 한다.
35. Outline 패널에서 name 무비클립을 복사하여 2번 붙여넣기 한
다. 모두 3개의 무비클립이 되고, 위에서부터 이름을 name1,
name2, name3로 한다.
36. Outline 패널에서 name1의 위치를 기준으로 name2, name3의
위치를 x축으로 각각20, 40만큼 우측으로 이동한다.
37. Outline 패널에서 3개의 name 무비클립을 선택하여 무비클립으
로 만든다. 이름을 name이라고 한다. 이름의 위치를 아래 가운데의
좌우측 화살표 가운데로 이동한다.
38. Outline 패널에서 name 무비클립을 펼친 후 다음과 같이 스크립
트를 적용한다.
- name무비클립내의 name1무비클립내의 name :
onSelfEvent (load) {
targetx = 0;
speedx = 0.1;
}
onSelfEvent (enterFrame) {
this._x = this._x + speedx * (targetx - this._x);
}
- name무비클립내의 name2무비클립내의 name :
onSelfEvent (load) {
targetx = -20;
speedx = 0.05;
}
onSelfEvent (enterFrame) {
this._x = this._x + speedx * (targetx - this._x);
}
- name무비클립내의 name3무비클립내의 name :
onSelfEvent (load) {
targetx = -40;
speedx = 0.15;
}
onSelfEvent (enterFrame) {
this._x = this._x + speedx * (targetx - this._x);
}
39. Outline 패널에서 name무비클립을 복사하여 제자리 붙이기를 하
고, 한글을 한자로 바꾼다. im무비클립에서 응용한 자동실행기능을
이용하여 150프레임 단위로 자동실행이 되게 한다.
스크립트작품 3번
'스위시세상 > 스위시 맥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제2 (0) | 2016.01.09 |
---|---|
복제 (0) | 2016.01.09 |
6 , 4방향 움직임 (0) | 2016.01.09 |
슬라이딩 갤러리 (0) | 2016.01.09 |
탄력적 움직임 버튼이용 (0) | 2016.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