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작품은 보기에는 간단해 보이면서도 제작과정이 조금 난해하여
응용편을 만들어 올려 보았습니다.
여기 설명은 기존 설명서에 있는 것과 다른 점을 설명하여 놓았습니다.
이번 기회로 실력 연마의 차원에서
시간나실 때 한번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1)Movie 설정 : 600*400
2)도구창-Insert Image클릭하여 이미지 10장을 불러온다.
3)아웃창에서 위의 이미지 10장을 모두선택한 후
우측 Transform패널에서 Anchor point를 Top Left로 설정하고
W=60, H=30 설정하면 작은 그림이 형성된다.
이 작은 그림을 무비창 오른쪽에 세로로 정열한다.
*오른쪽 Align패널을 이용 일정한 간격으로 정열한다.
저자가 정열한 결과 10개의 작은 그림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물론 위치를 다르게 적용하면 다르게 나타낼 수 있다.
Photo1 : X=512, Y=16.9
Photo2 : X=512, Y=54.65
Photo3 : X=512, Y=92.45
Photo4 : X=512, Y=130.2
Photo5 : X=512, Y=168
Photo6 : X=512, Y=205.8
Photo7 : X=512, Y=243.55
Photo8 : X=512, Y=281.35
Photo9 : X=512, Y=319.1
Photo10 : X=512, Y=356.9
4)그 다음으로 하는 방법은 기존방법과 동일하되
반드시 sprite 이름은 정확하게 photo1~10까지 수정해 준다.
5)오른쪽 content 패널에서 그림을 가져 왔을 때
큰 그림으로 나타날 때의 Transform 패널에서
그림 위치와 크기는 다음과 같다.
X=20, Y=20, W=480, H=360
물론 작은 그림은 W=60, H=30
6)아래는 photo script 소스 내용이다
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Load () {
showState = "off";
tgx = this._x;
tgy = this._y;
speed = 15;
}
onEnterFrame() {
if (showState == "off") {
this._x += (tgx - this._x) / speed;
this._y += (tgy - this._y) / speed;
this._width += (60 - this._width) / speed;
this._height += (30 - this._height) / speed;
} else {
this._x += (20 - this._x) / speed;
this._y += (20 - this._y) / speed;
this._width += (480 - this._width) / speed;
this._height += (360 - this._height) / speed;
}
}
onSelfEvent (release) {
_root.viewPhoto(1);
}
*위의 소스내용 중 위의 빨간 부분 5개를 수정해 주어야 한다.
*위의 60, 30은 작은 그림 크기의 수치이다.
*위의 480, 360은 큰 그림 크기의 수치이다.
*위의 1은 photo 번호를 수정하면 된다.
7)아래는 scene-1 script 소스 내용이다.
function viewPhoto(num) {
for (i=1; i<=10; i++) {
_root["photo"+i].showState = "off";
}
_root["photo"+num].showState = "on";
}
onFrame (2) {
viewPhoto(1);
stop();
}
*위의 소스 내용 중 빨간 부분을 10으로 수정해 주어야 한다.
*가령 예를 든다면 이미지를 10개 만들려면 10으로 고치고
20개를 만들려면 20으로 고쳐 주면 된다.
8)나머지 큰 그림 테두리 그리기
Rectangle(사각형) 선택하여 테두리 그리고
Transform 패널에서 위치와 크기의 설정은 다음과 같다.
X=20, Y=20, W=480, H=360
Line(직선), 3, 빨간색, Fill(None) 설정한다.
9)작업완료-play
*그 외의 제작방법은 기존 설명서에 있는 그대로 적용하시면 됩니다.
기존 설명서에서의 다른 부분만 설명하였습니다.
참고 하시고 시간 나실 때 한번 만들어 보시라고 올려 놓았습니다.
그럼 성공을 빕니다.
감사 합니다
엄 주 보 올림
Extention-Image만들기(버튼10개응용).swi
|
'스위시세상 > 스위시 맥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Box Making(1) (0) | 2010.01.22 |
---|---|
[스크랩] 스위시 맥스2 - 이미지 색의 보정(변색) (0) | 2010.01.22 |
[스크랩] 족자 만들어 글올리기 (0) | 2010.01.22 |
[스크랩] 모자이크 겔러리 (0) | 2010.01.22 |
[스크랩] 마우스 롤오버 (0) | 2010.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