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지 체인지
![](https://t1.daumcdn.net/cfile/cafe/127E7C4C50550E362C)
1. 작업창 크기; 700*500, 이미지 크기; 300/400, ;
1번 그림 불러와 350/250에 위치시키고 이를 카피 y 값 1을 더 주고 물결판 불러와 포지션 포인트 중하에 주고 y=450에 위치시키고 한 칸 내려 카피한 이미지와 마스크 처리하고 아래 이미지와 다시 무비클립으로 묶고 편이상 m1이라 표시하고 이를 카피 총 9개를 만들어 m1-9로 이름하고 해당 이미지로 교체하고 다시 무비클립으로 묶고 img라 이름하고 눈을 감겨 놓는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80BB34E50550E452B)
2. 아우토 세이프-2D-라팅글라운드 선택하고 사이즈 300/400으로 350/250에 위치시키고 이를 카피 총 9개를 만들어 m1-9로 이름하고 모두를 선택하고 프로퍼티즈창에서 타켓트에 체크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514B55050550E5426)
3. 세이프 모두를 선택하고 타임라인 1프레임에 place를 주고 타임라인 맨 아래에서부터 아래 좌표와 사이즈를 준다. 이어 2, 3, 4프레임에도 같은 작업을 한다. 먼저 좌표를 주어 이동시키고 전 로테이션값을 0으로 주고 사이즈값을 입력하고 현 로테이션값을 준다.
* 1프레임
m1; 285/110 (사이즈 100/150)
m2; 225/140 (사이즈 100/150)
m3; 165/170 (사이즈 100/150)
m4; 105/210 (사이즈 100/150)
m5; 90/250 (사이즈 100/150)
m6; 130/300 (사이즈 100/150)
m7; 170/350 (사이즈 100/150)
m8; 210/400 (사이즈 100/150)
m9; 505/250 (사이즈 300/400)
* 2프레임
m1; 90/190 (사이즈 90/140)
m2; 610/190 (사이즈 90/140)
m3; 140/210 (사이즈 110/160)
m4; 560/210 (사이즈 110/160)
m5; 200/230 (사이즈 130/180)
m6; 500/230 (사이즈 130/180)
m7; 270/250 (사이즈 150/200)
m8; 430/250 (사이즈 150/200)
m9; 350/270 (사이즈 170/220)
* 3프레임 (img1-8, 사이즈 100/150)
m1; 440/170 (로테이션 -10)
m2; 450/320 (로테이션 10)
m3; 490/180 (로테이션 -10)
m4; 500/310 (로테이션 10)
m5; 540/190 (로테이션 -10)
m6; 550/300 (로테이션 10)
m7; 590/200 (로테이션 -10)
m8; 600/290 (로테이션 10)
m9; 195/260 (사이즈 300/400)
* 4프레임 (img1-8, 사이즈 80/130)
m1; 125/150 (로테이션 30)
m2; 210/145 (로테이션 50)
m3; 70/250 (로테이션 10)
m4; 170/260 (로테이션 50)
m5; 250/260 (로테이션 -30)
m6; 80/390 (로테이션 -10)
m7; 155/400
m8; 235/375 (로테이션 40)
m9; 500/250 (로테이션 -7)
작업이 끝났으면 이 모두를 묶고 mask라 이름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216344850550E6834)
4. 별 이미지 불러와 사이즈를 60/60으로 주고 포지션 포인트 좌상에 주고 0/0에 위치시키고 이를 카피 아래 이미지는 필타입=none으로 하고 이름을 forswish로 적고 타켓트에 체크한다. 위 이미지는 무비클립으로 묶고 light라 이름하고 아래 투명세이프와 다시 무비클립으로 묶고 star라 이름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54F3D4D50550E7622)
5. 150/150으로 사각형 그려 포지션 포인트 좌상에 주고 0/0에 위치시키고 서브셀렉션툴 선택하여 우하 꼭지점을 삭제하여 삼각형으로 만들어 필타입=그라디언트를 주고 색상을 장식한다. 이어 Change라는 글자를 삼각형 위에 적어 놓고 이 둘을 선택하고 그룹 에스 세이프로 하나의 세이프를 만들어 마우스 우클, 그룹핑-그룹 에스 버튼을 선택하고 아래 스크립트를 적는다.
on(press){
play();
with(mask) gotoAndStop(_currentFrame==_totalFrames?1:_currentFrame+1);
}
6. 바탕 이미지를 제외한 모두를 무비클립으로 묶고 main이라 이름하고 메인을 선택하고 아래 스크립트를 적는다. 무비클립으로 묶기 전에 x=350을 확인하라. y 값을 물결판 때문에 유동적이다. 테스트 해보고 조정하기 바란다.
onSelfEvent(load){
mcVar=["_x","_y","_xscale","_yscale","_rotation"];
imgNum=mask._visible=0;
dumAr=[];
maxDepth=-20000;
speed=15;
img._x=mask._x;
img._y=mask._y;
for each(maskFor in mask){
dumAr[maskFor.getDepth()]=maskFor;
maxDepth=Math.max(maskFor.getDepth(),maxDepth);
imgNum++;
}
for each(imgFor in img){
imgFor.onPress=function(){
speed=15;
diff=maxDepth-this.getDepth();
for each(var i in img) i.swapDepths(i.getDepth()>this.getDepth()?i.getDepth()+diff:i.getDepth()+diff+imgNum);
for each(var i in img) i.swapDepths(i.getDepth()-imgNum);
}
}
}
onSelfEvent(enterFrame){
for each(imgFor in img){
for each(mcStat in mcVar){
imgFor[mcStat]+=(dumAr[imgFor.getDepth()][mcStat]-imgFor[mcStat])/speed;
}
}
speed>2?speed-=1:null;
star.light._x=Math.randomInt(700)+40;
star.light._y=Math.randomInt(500)+40;
star.light._rotation+=10;
var bmap=new flash.display.BitmapData(700,500,true,0);
bmap.draw(star);
star.forswich.attachBitmap(bmap,0);
}
![](https://t1.daumcdn.net/cfile/cafe/14403F4D50550E9C26)
![](https://t1.daumcdn.net/cfile/cafe/1641AB4D50550E9C2A)
![](https://t1.daumcdn.net/cfile/cafe/14468D4D50550E9C27)
![](https://t1.daumcdn.net/cfile/cafe/2041A04D50550E9C29)
![](https://t1.daumcdn.net/cfile/cafe/1541674D50550E9D2A)
![](https://t1.daumcdn.net/cfile/cafe/15449D4D50550E9D28)
![](https://t1.daumcdn.net/cfile/cafe/194F374D50550E9D23)
![](https://t1.daumcdn.net/cfile/cafe/1955A14D50550E9D1F)
![](https://t1.daumcdn.net/cfile/cafe/20401A4D50550E9D2B)
![](https://t1.daumcdn.net/cfile/cafe/193F664750550E9E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