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오직 예수 그리스도
스위시세상/스위시 고급

종합겔로리2

by 어린양01 2012. 9. 29.

 

종합겔로리2 강좌.zip

 

종합겔로리2 영상주소.txt

 

종합겔러리.swf

 

사진액자3.swi

 

사진액자4.swi

 

 

 

 

종합 겔러리(2)

 

 

1. 작업창 크기; 700*500, 이미지 크기; 700*380, 난이도; ★★★★

 

바탕1 이미지 불러와 포지션 포인트 좌상에 주고 0/0에 위치시킨다. 이를 카피 x=760으로 보내고 이 둘을 무비클립으로 묶고 img라 이름하고 포지션 포인트 좌상으로 준다. 다시 이를 무비클립으로 묶고 포지션 포인트 좌상을 주고 bg라 이름하고 아래 스크립트를 적는다.

 

onSelfEvent (load) {move=1;

}

onSelfEvent (enterFrame)

{img._x-=move;

if(img._x<-760){

img._x=0;}

}

 

 

2. 90/30으로 사각형 그려 필타입=솔리드, 색상=흰색(투명도/25)으로 하고 250/50에 위치시키고 이를 카피, 4개를 만들어 맨 위 세이프를 x=570으로 보내고 모두를 선택하고 수평 정렬을 한 다음, 하나하나를 선택하고 로테이션 0/20으로 한다. 이어 각각의 세이프 위에 원하는 글자를 입력한다.

700/5로 길게 사각형 그려 필타입=솔리드, 색상=흰색(투명도/75), 좌표=350/75로 하고 다시 5/500으로 사각형 그려 좌표, 160/250에 위치시킨다. 이어 작업창 적당한 곳에 로고나 닉네임을 입력한다.

 

 

3. 각각의 글자를 해당 세이프 위로 올리고 둘씩 짝지어 그룹 에스 버튼을 선택하고 프로퍼티즈창에서 오버스테이지에 체크한다. 오버 스테이지의 모션은 각자 취향대로 한다. 아웃라인 아래에서부터 b1-4로 이름하고 이를 다시 무비클립으로 묶고 btn이라 한다.

 

 

4. 아래 가로 선을 선택하고 포지션 포인트 좌중에 주고 w=0.1로 한 다음, 21-40에 무비를 주고 w=700, 위 세로선 선택하고 화면을 확대해 중심점을 선이 교차하는 + 지점을 옮기고 h=0.1, 25-40프레임에 무비를 주고 h=500으로 한다. 2개를 각각 무비클립으로 묶고 line1, 2라 이름하고 각각 무비클립으로 열고 40, 41프레임에 스톱을 주고 41프레임에 remove를 준다.

 

 

5. 타이틀을 선택하고 블릭-블릭 인투 레터를 선택하고 생성된 그룹을 무비클립으로 묶고 logo라 이름하고 로고를 열고 타임라인 91-140프레임에 Looping continuously-Rainbow Bulges를 주고 에펙창에서 어몬트값을 2로 정정한 다음, 140프레임에서 무비컨트롤-고투엔 플레이-고토엔 프레임을 선택하고 스크립트창에서 프레임 수를 91로 정정한다.

 

 

6. 맨 처음 만들어 놓은 btn을 열고 b1 41프레임에 페이드-인을 주고 이를 카피 올라가면서 5프레임 간격으로 붙여넣기를 하고 65프레임에 스톱을 준다. 이제 본 영상들을 만들어 본다. 이제까지는 오프닝이다.

 

 

7. 1번 이미지 불러와 포지션 포인트 중하에 주고 350/480에 위치시키고 이를 카피, y1을 더 주고 물결판(700*700) 불러와 카피한 이미지와 무비클립으로 묶고 마스크에 체크한 다음, 아래 남은 이미지와 다시 무비클립으로 묶는다. 이를 카피 총 10개를 만들어 아웃라인 아래에서부터 img1-10으로 이름하고 해당 이미지로 교체한다.

 

 

8. img1을 선택하고 x=-2450, img9을 선택하고 x=3150으로 보내고 이 모두를 블록으로 잡아 수평 정렬을 하고 9개 하나의 무비클립으로 묶고 poto1이라 이름하고 포토1을 카피해 총 9개를 만들어 poto1-9으로 이름 한다.

 

 

9. 700*380으로 사각형 그려 포지션 포인트 중하에 주고 350/480에 위치시키고 3/3으로 잘라 벗겨내어 프로퍼티즈창에서 사이즈를 233.5/126.8로 조정하고 각각 poto 아래에 위치시키고 (순서가 바뀌지 않게 한다.) 둘씩 짝지어 무비클립으로 묶고 마스크에 체크한 다음, main1-9로 이름을 준다.

 

 

10. 700*40으로 사각형 그려 포지션 포인트 중하에 주고 350/480에 위치시키고 선타입=실선, 선굵기=0.1, 선 색상=흰색으로 주고 필타입=솔리드, 색상=흰색(투명도/50)으로 입력하고 9/0으로 잘라 벗겨내어 아웃라인 아래에서부터 b1-9으로 표시하고 이를 다시 무비클립으로 묶고 btn이라 한다. 이제 main 9개와 btn을 하나의 무비클립으로 묶고 gallery라 이름 짓고 해당 부분에 스크립트를 적는다. 스크립트는 메모장으로 올린다.

 

 

11. 작업하기 편하게 겔러리의 눈을 감겨 놓고 효과 준 선이 보이게 조정을 한 다음, 버튼 이미지 불러와 80/150에 위치시키고 화면을 확대하여 버튼 위에 글자를 입력하고 이미지와 맞게 로테이션을 주고 이 둘을 그룹 에스 버튼으로 만들어 카피하여 총 4개를 만들고 맨 위 버튼을 y=350으로 보내고 모두를 블록으로 잡고 수직 정렬을 한 다음, b1-b4로 이름하고 버튼을 열고 해당 숫자만 바꾸어 준다. 이어 버튼 4개를 무비클립으로 묶고 btn이라 이름 한다.

 

 

12. 시에 관한 영상은 말로 설명하기는 그렇다. 그래 기본 골격만 적는다. 우선 적당한 시어를 선택한다. 시는 너무 길지 않아야 좋다. 시가 너무 길어 장면이 자주 바뀌면 보는 사람이 집중하기 힘들다. 시를 선택했으면 그 시의 내용에 어울릴만한 이미지를 선정해야 한다. 이 부분에 많은 시간이 들어간다. 다양한 이미지도 소유하고 있어야하겠지만 우선 분위기를 살릴 수 있는 그런 고상한 이미지들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소스파일로 덕지덕지 장식할 수밖에 없다. 이미지에서 은은한 멋이 나오도록 효과를 주는 작업을 자주해야 한다. 효과라 해보아야 펜툴로 따서 효과를 주는 것과 투명도와 칼라값을 조정해서 색다른 맛이 나게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시 이미지를 불러와 430/290에 위치시키고 적당한 효과들을 주고 글자를 입력해 글자에 필터와 적당한 효과들을 준다. 글이 나타나는 타임이 너무 빠르지 않게 하고 기본 프레임도 200 정도를 주어야 한다. 이어 버튼을 제외한 시 바탕과 글자, 효과들을 하나의 무비클립으로 묶고 편이상 p1이라 이름 한다. 이런 식으로 총 4개를 만들어 p1-4로 이름 한다.

 

 

13. 진 작업이 끝났다. p1-4과 다 독립된 시 영상이다. 그 안에 각각의 효과와 글과 이미지가 들어가 있다. 이제 poem 버튼을 열고 아래에서부터 11프레임에 슬라이드 인 프롬 탑을 주고 이 효과막대를 카피해 5프레임 간격으로 붙여 올라간다. 이어 35프레임에 스톱을 주고 위 4개의 무비클립과 함께 하나의 무비클립으로 만들어 poem이라 적는다.

 

 

14. 이제 동영상 영상을 만들어 본다. 앞선 강좌에서 swf 영상은 설명했으니 오늘은 flv 영상을 로드해 본다. flv 영상은 swf 영상보다 비교적 진 시간을 보여주어 편리한 점도 있으나 카페에 로드한 주소는 자주 바뀐다. 계속 그 영상을 보여주려면 주소를 수시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콘포넌트-비디오 플레이어를 열면 5개의 샘플이 있다. 여기서 4번째 Ultra Minimalist를 선택하여 작업창에 끌어낸다. 다른 것들은 작동이 안 되는 것도 있고 어떤 것은 플레이 버튼이 화면에 나타나고 플레이는 그냥 자동으로 된다. 그걸 없애려고 플레이 버튼을 클릭하면 2중창이 된다. 프로퍼티즈창에서 자동 플레이에 체크해도 별 효과가 없다. 그래 나는 4번째 것을 사용한다.

 

videoPlayer를 선택하고 포지션 포인트 좌상에 주고 0/80에 위치시키고 사이즈를 700/420로 한다. 이어 비디오 무비클립으로 열면 videoObject가 있다. 이걸 선택하고 프로퍼티즈창을 보면 url 입력란이 있다. 여기에 주소만 적으면 된다. 이를 카피해 총 4개를 만들고 각각 주소만 변경한다.

 

아우토 세이프-프레임-무비를 작업창에 끌어내 사이즈를 70/40으로 좌표 150/105에 위치시키고 검정색이 나타나게 필터-베벨을 주고 옵션에서 색상을 흰색으로 주고 이너사도우와 락 아웃에 체크한다. 이어 필름 위에 적당한 크기로 숫자를 적고 이 둘을 일단 그룹으로 묶고 카피해 총 4개를 만들어 맨 위 그룹을 x=550으로 보내고 수평정렬을 한다. 이어 그룹을 벗겨 내고 해당 숫자로 바꾼다.

 

 

15. 둘씩 짝지어 각각 무비클립으로 묶고 b1-4로 이름하고 이를 다시 무비클립으로 묶고 btn이라 하고 btn을 열고 b1을 선택하고 타임라인 11프레임에 슬라이드 인 프롬 라이트를 주고 이 효과막대를 카피해 5프레임 간격으로 올라가면서 붙여넣기를 하고 35프레임에 스톱을 준다. 이어 비디오 무비클립 4개와 버튼을 하나의 무비클립으로 묶고 video라 한다. flv 주소는 각자 구하시고 여의치 못한 분들을 위해 연습용으로 있는 주소를 적는다.

 

 

* 메모장으로 올립니다.

 

16. 이제 마지막으로 사운드를 해보자. 사진 액자 불러와 435/310에 위치시키고 헤드폰 이미지 불러와 90/400에 버튼 소스 불러와 290/120에 위치시킨다. 이어 아웃라인 인서트-임포트 사운드를 선택하여 내 컴에서 음원을 불러와 무비클립으로 묶고 song1이라 표시하고 이를 카피 총 4개를 만들어 song1-4로 이름 한다. 음원은 로드로 가져와도 되나 로드 음악은 어느 순간 주소가 바뀔지 모른다. 가장 완전한 방법이 자기 음원을 직접 로드하는 것인데 이것은 용량이 문제가 된다. 그러나 mp3 리사이즈나 골드웨이브 같은 프로그램을 용량을 줄이면 한 영상에 4곡은 무난히 들어간다.

 

 

17. 아웃라인 그림을 보면서 무비클립을 정리한다. 버튼을 열고 아래에서부터 타임라인 11프레임에 페이드-인을 주고 이 효과막대를 카피해서 5프레임 간격으로 올라가면서 붙여넣기를 하고 위 이미지 1, 231프레임에 페이드-인을 주고 40프레임에 스톱을 준다.

 

 

18. 아웃라인 인서트-무비클립으로 선택하고 포지션 포인트 좌상, 190/150의 좌표를 주고 사이즈를 22/19로 하고 스크립트창을 열고 위 그림처럼 메뉴를 찾아 로드무비를 클릭하고 url란에 아래 주소 중 하나를 적는다. 스크립트 창을 닫고 무비클립을 카피해 총 4개를 만들어 스크립트창을 열고 각각의 주소로 바꾸어 준다.

 

 

 

19. 액자 위에 사각형 그려 서브 셀렉션툴을 선택하고 액자 안과 밖으로 나가지 않게 적당한 모양을 만들어 이를 카피, 4개를 만들어 각각의 무비클립 밑에 위치시키고 둘씩 무비클립으로 묶고 마스크에 체크한 다음, v1-4로 구별한다. 이어 액자 이미지를 맨 위로 올리고 사운드에 관한 모든 것을 하나의 무비클립으로 묶고 music라 이름 한다. 이제 긴 작업이 끝났다. 이를 타임라인에 배열하고 스크립트만 주면 된다. 각 파티 안의 타임라인 효과는 아래 그림들을 보면서 그대로 한다.

 

20.

 

 

21.

 

 

22.

 

 

 

23.

 

위 그림들을 잘 보면서 타임의 효과를 준다. 스크립트는 메모장을 참조한다. 이번 강좌는 이미지 양이 많아 압축파일 속에 있다.

 

첨부파일 강좌.zip

 

 

첨부파일 영상주소.txt

사진액자3.swi
0.04MB
종합겔러리.swf
6.35MB
사진액자4.swi
0.13MB
종합겔로리2 영상주소.txt
0.0MB
종합겔로리2 강좌.zip
2.55MB

'스위시세상 > 스위시 고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라이드딤스크립트응용(3)  (0) 2012.10.03
아침햇살外4펀/안희선  (0) 2012.10.01
note book 오프닝  (0) 2012.09.29
불꽃축제  (0) 2012.09.29
스크립트 영상  (0) 2012.09.29